장보(2)
-
명나라의 식민지배 2) 후쩐(後陳)왕조의 봉기
오랜 세월 자주권을 누렸던 베트남인들이 명나라의 지배에 순응할 수는 없었다. 명의 원정권 사령관이었던 장보(張輔)가 종전 몇 달 뒤 귀국하자 곧바로 반란이 일어났다. 여러 독립투쟁 세력 가운데 쩐왕조 8대 황제 예종의 아들로 알려진 쩐꾸이(陳頠)가 가장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1407년 황제를 자칭해 간정제(簡定帝)라 불리었으며 연호까지 제정했다. 이를 후쩐(後陳)왕조라고 부른다. 쩐꾸이는 그동안 명에 협조해 세력을 유지해왔던 여러 옛 쩐 왕족들의 귀부를 받아 힘을 키운 뒤 응에안 지방에서 탕롱을 향해 진격했다. 쩐꾸이의 군대가 지나는 곳마다 백성과 관리들이 구름처럼 몰려나와 뒤를 따랐다고 기록돼 있다. 놀란 명 조정은 운남성에 주둔하고 있던 목성(沐晟)에게 예하 병력 4만 명을 이끌고 가 탕롱의 명나라..
2021.07.16 -
명나라의 베트남 정복
국경 충돌 소식을 들은 명나라 영락제는 왕을 시해하고 나라를 빼앗은 호씨 부자를 응징하겠다며 베트남 정벌을 선언했다. 그리고 1406년 11월 명의 20만 대군이 베트남 땅에 들어섰다. 명의 원정군은 둘로 나뉘어 동군은 광서성에서 랑썬을 거쳐 서진하고 서군은 윈난성에서 출발해 홍강을 따라 남진했다. 과거 중국의 침략 경로 그대로였다. 동군은 장보(張輔) 서군은 목성(沐晟)이 지휘했는데, 명나라 장군 다수가 대몽전쟁과 내전을 거치며 풍부한 실전 경험을 가지고 있었고 특히 장보는 당대의 명장이었다. 호뀌리 정권은 선조들이 중국 침략군을 물리친 모든 전술들을 동원해 맞섰다. 즉 적이 먹을 수 있는 모든 것을 불태우고 퇴각하는 청야전술, 소규모 부대들이 끊임없이 적 후방에 나타나 공격하는 유격전술, 보급로를 끊..
2021.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