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3)
-
나라가 자주성을 잃었을 때
찌에우다는 무려 70년 동안 남비엣을 통치한 뒤 기원전 137년 사망했다. 이와 함께 남비엣의 황금기도 저물어갔다. 찌에우다의 후계자들은 그의 기상을 물려받지 못했다. 찌에우다의 왕위를 손자인 문제(文帝)가 이었다. 즉위 2년 뒤 민월(閩越)의 왕이 남비엣을 공격해왔다. 그동안 찌에우다에게 눌려있던 민월이 남비엣 정권 교체의 틈을 노려 반전을 시도한 것이었다. 당연히 문제가 군대를 이끌고 나가 자신과 국가의 명운을 걸고 싸웠어야 했다. 그러나 그는 손쉬운 방법을 택했다. 한나라에 도움을 청한 것이다. 한나라는 왕회와 한안국 두 장군을 보내 민월을 치도록 했다. 과거의 한나라가 아니었다. 고조 유방이 흉노에게 참패한 뒤 한나라는 가능하면 전쟁을 하지 않는다는 일종의 고립주의를 채택했다. 그 결과 한나라는 ..
2021.05.11 -
남비엣을 세우다
임효는 선정을 베풀어 백월족의 민심을 다스렸고 농업과 교통을 발전시켰다. 조타도 중국 본토가 평화로웠다면 새 정복지의 한 부분을 다스리며 관료로서의 출세를 꿈꾸고 살았을 것이다. 그런데 절대 권력자인 진시황이 죽고 못난 아들 호해(胡亥)가 황제의 자리를 가로챈 뒤 세상이 요동치기 시작했다. 진승과 오광이 농민들을 선동해 반란을 일으키자 삽시간에 수십만의 무리가 그 아래 모여들었다. 비록 진승과 오광은 몇 달 만에 진나라군에 진압됐지만, 천하 각지에서 반란군이 들고 일어났다. 이 무렵 남쪽에서도 생존을 위한 이합집산이 벌어졌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임효가 병이 들자 조타를 불러 다음과 같이 말했다는 것이다. “나는 군대를 일으켜 중원과 이어진 길을 끊고 스스로 방비하여 제후들이 일으킨 변고에 대비..
2021.05.10 -
진시황의 끝없는 욕망
그의 욕망은 거의 병에 가까웠다. 오백 년을 나뉘어 싸워온 중국의 일곱 나라를 통일하고도 진시황은 만족하지 못했다. 그는 자신이 아는 세상의 끝까지 손에 쥐려 하였다. 전쟁은 멈추지 않았고, 침략당한 나라뿐 아니라 중국의 백성들도 대규모 원정을 수행하느라 이루 말할 수 없는 고초를 겪어야 했다. 사마천의 「사기」는 당시의 참상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법은 엄하고 정치는 가혹했으며 아첨하는 자가 많아 매일 그들의 칭송만 듣다 보니 뜻이 커지고 마음은 교만해졌다. 그 결과 위세를 나라 밖까지 떨쳐보고 싶은 마음에 몽염을 시켜 장병들을 이끌고 북쪽의 흉노를 치게 했다. 영토를 개척하여 국경을 넓히고 북하에 군대를 주둔시키며 말먹이와 군량을 실은 수레를 뒤따르게 했다. 다시 위나라 사람 도수를 시켜 수군을 ..
2021.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