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나라군(3)
-
몽골의 2차 송나라 침략 (1) 조어성의 기적
몽케 대칸은 1258년 송나라에 대한 대대적인 공격을 명령했다. 그는 군대를 셋으로 나누어 서쪽 사천성 공략은 자신이 직접 지휘하고, 과거 최대 격전지이었던 호북성 무창 방면은 둘째 동생인 쿠빌라이, 운남에서 올라오는 별동대는 현지 주둔군 사령관인 우량하타이가 지휘하도록 했다. 몽골의 대군이 남하하자 사천성의 대다수 성들은 겁에 질려 싸워보지도 않고 항복했다. 그러나 쾌속 진격하던 몽골군은 이번에는 오늘날의 중경 북쪽에 있는 조어성(釣魚城)에서 제동이 걸렸다. 조어성은 양쯔강의 세 지류가 만나는 지점의 험준한 절벽 위에 쌓은 산성이었다. 몽골군은 성의 삼면을 포위한 뒤 동서 양쪽에서 공격을 시작했다. 조어성의 군민 10만 명이 왕견(王堅)의 지휘 아래 똘똘 뭉쳐 몽골의 공격에 대항했다. 왕견은 몽골의 1..
2021.06.15 -
소득 없는 송나라의 2차 침략
남부의 세 개 도시가 유린당한 사실에 송나라 조야는 경악과 분노를 금치 못했다. 송 신종은 즉시 곽달(郭達)을 토벌군 지휘관으로 임명해 베트남을 공격하라고 지시했다. 송나라는 먼저 참파 및 크메르와 동맹을 맺어 베트남을 남쪽과 서쪽에서 동시에 공격하도록 했다. 다만 사서에는 두 나라가 베트남 공격에 적극 참여했다는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비록 두 나라가 베트남과 적대적이기는 했지만 중국이 베트남을 정복한 뒤에도 자신들과 계속 우호관계를 이어갈 것이라 생각하지는 않았을 것이며, 그보다는 두 강국이 싸워 서로 쇠약해지기를 바랐을 것이다. 1076년 송나라 대군이 베트남 국경을 넘었다. 탕롱을 향해 진격하던 송나라군은 느응우옛강 즉 지금의 꺼우강 전투에서 패배했지만, 병력의 수를 앞세워 그대로 밀고 내려가 ..
2021.06.02 -
야만스러워 보였던 황제
드디어 송나라와의 전쟁이 끝났다. 레호안은 2년 남짓한 짧은 기간 동안 황제가 시해되고 내전이 벌어지고 새 왕조를 열고 강국인 송의 침략까지 겪으며 모든 위기들을 극복해냈다. 송나라군을 국경 밖으로 몰아내고 수도 호아루로 개선한 레호안은 두옹반응아(楊雲娥)를 정식 황후로 맞아들였다. 기록에는 없지만 두옹반응아는 예쁜 구름이라는 이름만큼이나 아름답고 재능 있는 여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녀의 태생으로 당시 베트남 최남단 아이주의 부장(副將) 딸이라거나 딘보린과 같은 고향 출신이었다는 설이 엇갈리는데, 어느 쪽이든 집안의 힘으로 황후의 자리에 오른 것은 아니었다. 신하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두 황제와 결혼했다는 이유로 후세 유학자들에게 악녀로 평가되었지만, 두옹반응아는 뛰어난 처세와 정치력으로 자녀들을 ..
2021.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