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조교체(2)
-
피가 강을 이룬 왕조교체
쩐투도는 신속하고 무자비한 방법으로 왕위 찬탈을 성공시키며 가문 내 영향력을 키워갔다. 그는 8살 난 조카 쩐까잉(陳煚)을 궁궐에 들여보내 여왕을 가까이에서 보필하도록 했다. 장차 왕으로 세울 후보로 명목상 가문의 수장이었던 쩐트아의 둘째 아들을 선택하고 자신이 직접 왕위를 욕심내지는 않았다. 쩐씨 일족의 단합을 유지하기 위해서였다. 권력은 군대를 장악한 자에게 있는 것이니 자리의 이름에 크게 연연할 바도 아니었다. 쩐투도는 어느 날 두 사람이 공놀이를 하다 여왕이 쩐까잉에게 공을 던지는 것을 보았다. 그는 베트남 풍속에 여자가 남자에게 물건을 던지는 것은 청혼을 의미한다고 억지를 부려 둘을 결혼시킨 뒤 곧바로 남편에게 왕위를 넘기도록 했다. 1225년의 일이다. 200여 년을 지속해온 베트남 최초의 장..
2021.06.07 -
송의 어수선한 침략 준비와 레(黎) 왕조 수립
베트남이 내란에 빠지자 북쪽에서 송나라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그동안 송은 딘 왕조와 우호관계를 유지해왔지만 베트남을 지배하고 싶은 욕망까지 버린 것은 아니었다. 광서옹주지사 후인보가 수도 개봉에 베트남의 혼란상을 보고하고 “이는 하늘이 준 기회이니 놓쳐서는 안 된다”는 ‘취교주책(取交州策)’을 올렸다. 송 태종은 대단히 기뻐하며 후인보를 총사령관으로 한 베트남 침공을 준비하도록 지시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송나라 초기의 복잡한 정세가 작용해 원정군 운명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후인보는 개국공신이자 정계 거물인 조보의 여동생 남편이었다. 조보는 후주의 장군이었던 조광윤의 쿠데타를 기획했고 조광윤이 황제가 되자 재상에 올랐던 인물이다. 조보는 그러나 지나치게 독선적인 성격 탓에 관리들의 원성을 사고 ..
2021.05.24